세상이 변했다. docker가 처음에 나왔을때 소문만 들었다.
vitualbox를 설치해야하고.. 마 엄청 느리고 그랬던 것 같았다.
windows 10 pro에서는 예전부터 되었던 기능이라고 한다.
아래는 windows 10 home을 기준으로 한다.
최근에 it기사를 보았더니. 마소에서 wsl2가 나왔고
wsl2 ==> 윈도우에서 linux를 사용하게 해주는 그런 환경.
docker도 wsl2를 지원한다고 해서 설치해보았다.
결론은 잘되었다.
나의 컴퓨터 환경은
cpu : amd 3600
ram : 16gb
os : windows 10 home
이다.
일단 bios에서 가상화를 활성화해야한다.
이것을 활성화기 위해서 부팅 할때 del키를 눌러서 bios에 가서 cpu세팅에 amd의 경우 svm 기능을 활성화 해야한다.
두번째로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아래 부분들을 체크해주어야한다.
그리고 세번째로 windows 업데이트를 1918 버전 이상을 받아야한다.
2020년05월11 현재 1909 버전까지만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1918 이상을 받기 위해서는 프리뷰 버전을 받을 수 있도록 윈도우 업데이트를 설정해주어야한다.
[윈도우업데이트] windows 참가자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바꿔준다.
몇가지 설문에 답해야한다.
그러면 2020년 05월 11일 2004버전까지 업데이트가 가능했다.
자 이제 wsl2 를 설치해보자.
윈도우 키를 누르고 powershell을 입력해보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wsl2-install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wsl --set-default-version 2
그리고 마이크로 소프트 스토어에서 ubuntu를 설치한다.
찾아서 설치를 누르면된다.
유분투를 실행하거나 powershell에서 wsl 버전을 확인하면
wsl --list --v
나는 wsl 버전을 2로 해서 이렇게 나오는데 version 부분에 1이라고 나온다면 아래와 같이 하면된다.
wsl --set-version Ubuntu 2
리눅스명령은 windows 키 누르고 wsl 누르면 관련 프로그램이 검색되고 클릭하면 터미널이 실행된다.
docker 설치하기.
https://www.docker.com/get-started
접속해서 docker desktop 윈도우용을 설치하면된다.
위에서 설정했던 가상화, 윈도우 10 업데이트 버전 1918이상, wsl2가 이루어져야 docker를 윈도우에서 설치할 수 있다.
windows 10 home 도 가능하다.
나도 windows 10 home 유저!!
생각보다 놀랬던것 가상화 관련 메모리가 2gb 이상 먹는다.
아무것도 안돌리고 있는 상태이다.
허걱!!
wsl2를 사용한다고 windows의 모든 자원을 사용할 수는 없다고 한다.
gpu 같은 거는 지원을 안한다고 한다.
몇가지 더 있었던것 같은데. 필요하면 구글링 고고!!
인터넷 블로그에서 본 기사로는 윈도의 100% 성능을 내지는 못하고 20프로정도의 손실이 있다고 한다.
가상머신에 비교해서는 엄청 빠르다고 한다.
끝!!
'PROGRAMING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컨테이너 자동실행 만들기 (jenkins) (0) | 2021.04.02 |
---|---|
spring boot 와 docker 그리고 remote debugging (0) | 2020.12.15 |
pgadmin4 docker (0) | 2020.09.15 |
postgresql 설치 (0) | 2020.09.15 |
docker에 대한 생각. (0) | 2020.05.11 |